장례예절
장례식장 부의금 금액 고민 하지마지 말자
부의금
아무도 모르는 우리의 마지막 이별, 갑작스러운 부고 문자를 받게 되면 우리는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장례식장에 방문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되는지, 부의금은 어떻게 준비해야 되는지 막막해질 것이다. 오늘은 장례식장에 방문 시 부의금은 어떻게 성의 표현을 해야 되는 지를 알아보고, 그 뜻과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자.
부의금의 액수는 어떻게 정할까?
장례식장에 방문하게 되면 관례적으로 고인의 명복도 빌지만, 조의금으로 성의도 표현하게 된다. 조의금의 액수는 경제 사정에 맞게 마음을 전하는게 가장 중요하며, 밑에 표로 우리 장례식의 대표적인 예를 들어 보겠다.
부의금 액수의 예 | 친분 |
3만원 | 얼굴만 알고 지내는 사이 (모른척 하기도 그렇고 그런) |
5만원 | 잘알고 안부를 묻는 사이 (친구, 회사동료) |
10만원 | 가까운 친인척, 친구 사이 (친인척) |
부의금은 홀수로
대부분 조의금은 홀수로 전하게 된다. 음양오행설에 기원한 것으로 전통적으로 홀수는 양을 상징하고 짝수는 음을 상징하게 된다고 한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보통의 부의금은 3만 원, 5만 원, 10만 원 이렇게 정해서 내는 것이 당연한데, 10만 원이 넘어갈 경우는 10/20/30만 원 이렇게 부의금을 맞추게 된다.
부의금 전달
부의금은 직접 장례식장에 방문하여 고인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을 위로하며 드리는게 당연하나 지금은 코로나 19 바이러 스로인 해 가까운 지인이라면 찾아가 간단하게 위로의 인사를 하고 오는 것도 당연하나, 시대가 시대인 만큼 전화나 문자로 위로를 하고 계좌로 마음을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례예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례식장 조문시 위로가 되는 : 장례식 인사말 (0) | 2021.04.24 |
---|---|
코로나19 장례식장 방문시 지켜야될 수칙 (2) | 2021.04.14 |
기독교 장례식장 조문 및 옷차림 방법 (0) | 2021.04.12 |
장례식 비용 어떻게 절감 할까? (0) | 2021.04.09 |
장례식장 조문 언제가야 적당할까? (0) | 2021.04.07 |
댓글